-
브루잉 정의 및 추출 도구카테고리 없음 2022. 1. 4. 15:14728x90
브루잉이란??
커피의 대한 이해도가 있어야 하므로 커피의 대표 품종과 가공방식에 따른 맛 차이, 원두 신선도 유지 중요성에 대해사 파악 한 후 브루잉 요소에 대해서 배워봅니다.
분쇄된 원두나 물이 만나 커피가 추출되는 모든 과정을 브루잉이라고 합니다.
커피체리의 구조
가공방식
내추럴 : 커피체리를 수확한 그대로 햇볕에 말리는 방법
워시드 : 커피페리의 과육을 벗겨 물이 담긴 탱크에 발효시키는 방법
원두 신선도 유지의 중요성
원두는 산소 및 열 습기 냄새를 피해,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밀폐하여 보관해야 합니다
원두는 다공질 식품으로 산소와 맞닿을수록 산패현상이 일어나고 커피의 아로마가 빠져나가기 쉽습니다
그 틈으로 냄새가 잘 흡수될 수 있으므로 잘 밀봉하여 보관하도록 합니다.
고온 다습 한 경우 산패 현상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경에도 유의하는 것이 좋으며
급격한 온도변호로 습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냉장보관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원두는 홀빈상태로 보관, 추출 직전 분쇄하는 것이 좋습니다
분쇄된 우너두는 산소와 만나는 접촉면이 넓어져 향미가 빨리 사라지고 변질되기 쉽습니다.
브루잉 방식 :
침지식 : 분쇄된 원두를 우리거나 끓여서 추출하는 방식
우려내기 ; 추출 용기 안에 분쇄된 원두를 넣고 뜨거운 물과 섞습니다
달이기 : 추출 용기 안에 뜨거운 물과 분쇄된 원두를 넣어 섞은 후 가열하여 추출하는 방식
진공여과 : 유리 플라스크에 물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물이 상부로 올라가면 커피가루와 섞어줍니다.
여과식
드립여과 : 물이 분쇄된 원두를 통과하면서 추출하는 방식
가압식 : 압력이 가해진 뜨거운 물이 커피 케이크를 통과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
프렌치프레스 : 분쇄된 원두를 물에 우리는 원리이기 때문에 맛과 향이 풍분한 본연의 커피 맛을 그대로를 느낄 수 있습니다. 커피의 오일 성분 덕분에 바디감이 좋습니다.
클레버 : 분쇄된 원두를 물에 우리는 방식이지만 종이필터를 사용해 거르기 때문에 미분이 제거되어 맛이 깔끔합니다.
푸어방식과 상관없이 분쇄된 커피와 물을 넣고 기다렸다가 잔에 올려서 받으면 됩니다.
케멕스 : 다른필터에 비해서 20~30% 더 두껍고 무겁습니다.
덕분에 누가 어떻게 추출하던 일정한 추출이 가능하고 깔끔하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습니다.
에어로프레스 : 프렌치프레스와 멜리타드리퍼를 결합한 형태의 추출도구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해서 보다 깔끔, 부드럽고 풍부한 향미가 납니다. 여과, 침지에 비해 추출시간이 20~30 정도로 짧아 카페인성분이 적게 추출되며 쓴맛이 덜합니다. 미분이 없어 깔끔한 맛이 특징입니다.
모카포트 : 증기를 이용해 추출하는 가정용 에스프레소 추출 기구입니다.
전통적으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만들었지만 최근에는 관리가 수월한 스테인레스나 다른 재질로 된 제품들도 출시가 됩니다.
사이폰 : 물을 끓일 때 발생하는 수증기의 압력을 이요해 커피를 추출하는 도구로 상,하단 플라스크로 물이 이동하며 커피 추출이 진행이 됩니다. 부드러운 향미와 진한 바디감이 느낄 수 있습니다.
728x90